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6.39포인트(0.43%) 오른 4만5711.34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7.46포인트(0.27%) 상승한 6512.61에, 나스닥종합지수는 80.79포인트(0.37%) 뛴 2만1879.49에 장을 마쳤다.
3대 지수 모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2만1891.42)도 경신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고용·임금조사를 반영한 비농업 고용 연례 벤치마크 수정치의 예비치 발표에서 비농업 부문 고용 건수가 기존 발표치(179만명)보다 91만1000명 하향 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하향폭은 2002년 이후 23년만에 가장 크다.
월가의 예상치는 68만명 감소 수준이었지만 실제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면서 월가에선 곧바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경제가 약화하고 있다고 본다"며 "그게 경기침체로 가는 길인지 단순한 약화인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노스라이트자산운용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오는 11일 발표되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인플레이션 악화 추세를 보여준다면 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강세장은 올해 극단적으로 탄력적이었지만 시장이 다시 시험받는 변곡점에 다가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이 다만 이번 고용 증가 폭 하향 조정을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이면서 주요 지수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빅테크 업체 중에서도 브로드컴과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를 보였다.
애플은 이날 신제품 아이폰17의 라인업을 처음 공개했지만 인공지능(AI)과 관련한 새로운 기능이 발표되지 않은 영향으로 주가가 1.48% 떨어졌다.
고용지표 하향 조정으로 오는 16~17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관측에도 한층 무게가 실리게 됐다는 분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패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기준금리가 이달 0.25%포인트 인하될 확률은 91.8%, 0.5%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은 8.2%로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