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9.27포인트(0.77%) 하락한 4만5282.47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7.59포인트(0.43%) 떨어진 6439.32에, 나스닥종합지수는 47.24포인트(0.22%) 내린 2만1449.29에 장을 마쳤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지난 22일 '잭슨홀 미팅' 기조연설로 재부각한 금리인하 기대감이 다소 가라앉으면서 증시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파월 의장은 잭슨홀 연설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재개 시기나 속도에 대해선 신중함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의 연설 직후 지난 22일 증시는 급등세를 보였지만 주말을 지나면서 연내 금리 인하폭이 예상보다 작을 수 있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면서 시장의 투자심리가 가라앉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파월 의장의 연설 직수 91.5%까지 치솟았다가 하루 뒤인 지난 23일 75%로 떨어졌다가 이날 다시 82.8%로 반영하고 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발 전략가는 "지난 22일 상승분의 상당 부분은 공매도 청산의 결과였다"며 "지금부터 (FOMC가 예정된) 9월17일까지는 너무 많은 이벤트가 있기 때문에 연준이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확신이 들기 전까지 견뎌야 할 게 많다"고 말했다.
종목별로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빅테크 기업 중에선 엔비디아와 알파벳, 테슬라가 이날 1%대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실적 발표를 앞두고 매수세가 몰렸다.
애플(-0.26%), 마이크로소프트(MS)(-0.59%), 아마존(-0.39%), 메타(-0.20%) 등도 하락 마감했다.
미국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이날 5.9%까지 낙폭을 늘리다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팔란티어는 지난 12일 19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차익실현 심리가 강하지면서 주가가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정부에 지분 10%를 주기로 합의한 반도체 기업 인텔 주가는 이날 1% 하락했다.
국채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다. 글로벌 채권금리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전거래일 대비 1.6bp(1bp=0.01%포인트) 오른 4.276%에 거래됐다. 미 Fed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3.5pb 오른 3.724%에 거래됐다.